인지적 왜곡
엘리스는 비합리적 사고로부터 인지적 왜곡이 파생될 수 있다고 설명하였습니다. 대표적인 예시를 보겠습니다.
1. 이분법적 사고(Dichotomous thinking)
모든 가치 판단이나 의미를 흑백논리 중 하나로 해석하는 왜곡입니다. 예를 들면, '시험을 통과했느냐' 또는 '통과하지 못했느냐'라는 이분법으로 나누어서 평가하여 존재할 수 있는 회색지대를 전혀 인정하지 않은 경우입니다.
2. 과잉일반화
일부의 경우 또는 한두 번의 경험에 근거하며 얻은 결론을 모든 비슷한 상황과 이와 전혀 관계없는 상황에서도 같은 결론을 적용시키는 오류입니다. 예를 들면, 처음으로 출전한 달리기 대회에서 저조한 수행을 보였다고 항상 운동을 못할 것이라는 결론을 내리는 것입니다.
3. 선택적 추상화
사건이나 상황 전개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중요한 내용은 고려하지 않고 일부의 선택적인 정보에만 주의를 두어 의미를 해석하는 오류입니다. 예를 들면, 학부모 참관수업을 마친 교사가 많은 부모로부터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소수의 부모가 준 부정적 피드백을 받고서 본인의 참관수업 준비와 발표는 실패라고 결론짓는 것입니다.
4. 과도한 책임감
모든 사건과 발생된 상황의 잘못된 부분에 대한 책임이 개인에게 있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어머니가 아이의 성적이 저조한 것은 전적으로 자신에게 책임이 있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5. 인위적 추론
주어진 사건이나 상황을 판단함에 있어서 타당한 증거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의도하고 있는 특정한 결론을 이끌어 내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본인이 이혼소송을 하고 있는 경우에 자신의 이혼사유와 유사한 이전의 판례에 근거하여 예상할 수 있는 판결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생각하고 있는 판결을 선고받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ABCDEF 모형
비합리적 신념체계를 합리적 신념체계로 전환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ABCDEF 모형이라 합니다.
- 1단계 : A는 사건이 된 활동입니다. 개인에게 활성화된 사건이 무엇인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 2단계 : B는 개인에게 활성화된 사건을 어떻게 평가하는가? 에 대한 신념입니다. 신념에는 합리적 신념과 비합리적 신념이 있습니다.
- 3단계 : C는 B단계의 신념에서 나오는 결과를 나타냅니다. 합리적 신념에서 나온 메시지는 합리적 결과를, 비합리적 신념에서 나온 메시지는 비합리적 결과를 가져옵니다.
- 4단계 : D는 비합리적인 메시지를 공격하고 논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상담자는 아동이 가지고 있는 비합리적인 메시지에 대해서 합리적인 논박을 제시함으로써 자기 파괴적인 비합리적 메시지를 철회하도록 도와줍니다.
- 5단계 : E는 논박하기의 결과로 나타난 효과를 나타냅니다. 효과는 상담자의 논박하기를 통해 아동이 가지고 있었던 비합리적 신념에 대한 메시지가 합리적인 신념으로 변화되었음을 의미합니다.
- 6단계 : F는 논박하기의 효과로 나타나는 합리적 신념에서 유발되는 새로운 감정을 나타냅니다.
행동적 기법
1. 긍정적 강화
사회적 강화, 내적 강화, 물리적 강화 등을 포함합니다. 아동상담에서는 특정 주제를 탐색할 수 있도록 내담 아동을 격려합니다.
2. 소거
부적절한 행동의 발생빈도를 감소 또는 소멸시키기 위해서 사용하며 강화를 철회하거나 보류하는 기법입니다.
3. 타임아웃
내담 아동의 부적절한 행동을 유지 또는 강화하는 환경으로부터 아동을 격리시키는 기법입니다.
4. 반응 예방
내담 아동이 불안을 유발하는 자극을 대면하여도 자동적인 회피반응을 하지 않게 반응을 형성시키는 기법입니다.
5. 자기 강화, 자기 처벌
모델이 될 수 있는 기준과 비교하면서 결과에 대해서 자신에게 강화 또는 벌하기를 제공합니다.
6. 역할연기
비합리적 사고가 반영된 역할이 아닌 합리적인 사고와 일치되는 행동을 역할로 연습하게 하는 것입니다. 갈등상황의 재현을 통해 아동이 상대방의 입장이 되어 보고 객관적인 입장에서 갈등을 바라보게 합니다. 이는 갈등관계를 형성하고 있던 상대방을 이해하고 자신과 타인의 입장에 대한 공감과 수용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입장 바꿔 생각해 봅니다.]
나의 입장이 존재한다면 상대방도 마찬가지입니다. 상호 간에 존재하는 갈등을 해결하기 원한다면 역할연기를 통해 입장 바꿔 생각해 보기를 해봅니다. 내가 엄마의 입장, 아빠의 입장, 아들의 입장, 선생님의 입장이 되어서 상대방을 이해하려는 시도를 할 때, 우리는 서로의 이해를 진정하게 구하게 될 것입니다.
정서적 기법
1. 이미지 떠올리기
공포가 유발되는 상황에서 주의를 분산시키게 하거나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모습의 이미지를 떠올리게 합니다. 이를 통해 내담 아동은 부적절하고 부적응적 정서를 적절하고 적응적인 정서 상태에서 자신이 당면하고 있는 문제에 효율적으로 대처하는 이미지를 상상할 수 있게 됩니다.
인지적 기법
1. 자기 점검
아동이 자신의 행동에 관한 정보를 스스로 관찰하고 기록함으로써 자기 평가를 하도록 합니다. 상담자는 이를 통해서 내담 아동이 사건과 환경에 대해서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유아의 경우에는 다양한 기분 상태에 대한 이해가 어려우므로 단순화한 얼굴표정 그림을 제시하여 표시하도록 합니다.
2. 자기 교시
어려운 과제 또는 상황에서 대처할 수 있는 말을 자신에게 스스로 할 수 있도록 가르쳐 줍니다. 자기 교시훈련에서는 문제 정의 진술, 주의집중, 자기 평가, 자기 강화 단계로 실시합니다.
3. 역기능적 사고
역기능적 사고는 과잉일반화, 과잉단순화, 과장, 잘못된 유추 등으로 나타납니다. 유아와 아동의 경우에 자신의 역기능적 사고를 파악하고 진술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유아의 경우에는 놀이관찰 또는 부모의 보고를 통해 초등학생의 경우에는 일상생활에 대한 진술 또는 그림 그리기를 통해 역기능적 사고를 파악합니다.
4. 긍정적 자기 진술
긍정적인 자기 평가 메시지를 자신에게 보낼 수 있도록 합니다. 긍정적인 자기 언어를 강화해 주어 일상생활에서 일반화될 수 있도록 조력합니다.
5. 인지 모델링
적응적 행동을 보이는 모델을 관찰함으로써 기존에 가지고 있던 생각, 즉 사고를 바꾸어 나갑니다.
6. 인지 재구성
부정적이고 비합리적이며 비생산적인 사고를 긍정적이고 합리적이며 생산적인 사고로 바꾸는 것입니다.
숙제
상담 회기에서 다루었던 주제와 일관된 숙제를 내줍니다. 체계적인 주제하에 숙제를 내주며 규칙적으로 점검합니다. 아동의 연령에 따라 숙제 형태를 조정하여야 합니다. 예를 들면, 청소년의 경우에는 분노 표출 빈도 기록, 화가 나가 된 정황에 대한 관찰일지 기록을 숙제로 내줍니다. 이러한 숙제를 혼자 할 수 없는 유, 아동의 경우는 부모의 조력하에 숙제를 수행하게 합니다.
'Kids Psycholog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실치료의 구성된 체계와 정체감에 대해서 (0) | 2023.01.12 |
---|---|
현실치료의 인간관과 기본적 욕구에 대해 (1) | 2023.01.11 |
인지정서행동의 인간관과 주요개념에 대해서 (0) | 2023.01.10 |
아동중심상담의 치료목표와 과정에 대하여 (0) | 2023.01.10 |
인간중심 치료의 상담과정과 상담자의 역할 (1) | 2023.01.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