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ids Psychology

아동상담 분석의 불안과 방어기제에 대하여

by Sordio 2023. 1. 6.
반응형

불안과 방어기제

불안

 불안은 원인이 명확히 무엇인지 모르지만 위험하다고 느끼는 것입니다. 불안은 마음이 보내는 신호로 무엇인지는 모르지만 무엇인가 있다는 신호입니다. 즉, 정신분석이론에서 불안은 무의식적 욕구나 공격성 등이 의식으로 올라오는 것에 대한 반응입니다. 이러한 욕구나 공격성은 초자아와 부딪히게 되고 마음속에서 갈등이 생깁니다. 갈등이 생기면 불안해지고 불안은 불편한 감정을 만들어 냅니다. 불안이나 신경증적 갈등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위험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아이가 양육받고 사랑받기 위해 의존했던 대상이 화를 내거나 꾸중을 하는 경우, 즉 애정의 상실입니다. 

 둘째, 아이가 양육받고 사랑받기 위해 의존했던 대상의 상실 또는 이별입니다.

 셋째, 남근기 외디푸스 콤플렉스에 의해 거세불안을 느끼는 것입니다.

 넷째, 초자아가 유발하는 불안으로 자신이 도덕적 기준에서 벗어나는 경우 스스로를 비난하거나 죄의식을 느끼는 것, 즉 도덕적 불안입니다. 

 

방어기제

아동은 자라나면서 여러 가지 이유로 의존적 욕구와 본능적 욕구들이 좌절될 수밖에 없습니다. 마음속으로 본능적 욕구와 현실적 금지, 제한으로 인한 갈등이 일어나고 불안이 발생합니다. 아동은 이 불안과 두려움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 부분적으로라도 욕구를 충족할 방법을 배우는데 이 방법이 방어기제이며 성격 특성을 형성하는 데 영향을 줍니다. 방어기제를 사용하는 것은 현실세계에 잘 적응하고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데 중요한 자아의 역할이지만 방어기제를 너무 많이 사용하거나 한 두 가지의 방어기제만 사용한다면 심리적 문제를 일으키고 부적응적인 성격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1. 억압

 억압은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어기제입니다. 두렵고 무서운 욕구, 충동, 생각들을 무의식 속으로 눌러 넣어 버리는 것입니다. 억압을 통해위협적인 충동, 감정, 소원, 상상 기억 등이 의식화되는 것을 막아 줍니다. 억압이 많으면 억눌린 생각들이 풀려 나오지 못하고 억눌려 있기 때문에 편견이나 선입견이 많아지고 사고의 융통성이 없어집니다. 억압이 성공적일 때 본능적인 욕구가 있는 그대로 표현되는 것을 막아서 사회적, 도덕적으로 잘 적응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정신 에너지를 억압을 위해 사용하기 때문에 건설적인 활동에 방해를 받을 수도 있습니다. 

 

2. 반동형성

 반동형성이란 속마음에 있는 욕구와 정반대로 말이나 행동을 하고 태도를 취하는 것입니다. 무의식의 밑바닥에 흐르는 생각, 소원, 충동이 너무나 부도덕하고 받아들이기 두려운 것일 때 이와는 정반대의 행동을 하면서 의식으로 떠오르는 것을 막는 방어기제입니다. 예를 들어, 10대의 미혼모가 자신이 낳은 아이를 버리고 싶은 마음이 무의식 속에 자리 잡고 있지만 아기를 정성스럽게 보살피며 헌신적인 사랑을 하는 것은 증오에 대한 반동형성의 결과일 수 있습니다. 

 

3. 투사 

 투사는 자신의 무의식 속에 숨어 있는 욕망과 공격성 등 무의식적인 충동이 자신의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의 것이라고 떠넘겨 버리는 것입니다. 자신의 실패와 잘못을 남의 탓으로 돌리는 것도 투사입니다. 미성숙한 인격일수록 투사를 많이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서, 아동이 또래와 함께 놀다가 친구가 다른 친구를 괴롭힌다고 선생님에게 말했을 때, 사실은 자신이 그 아동을 괴롭히고 싶은 마음이 있었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4. 동일시

  동일시 혹은 동일화는 부모, 윗사람 등 중요한 인물들의 태도와 행동을 닮아가는 것입니다. 동일시는 초자아의 형성에 가장 큰 역할을 하며 성격발달에 중요한 방어기제입니다. 특히 동일시는 부모와 많은 관련이 있는데 부모가 자식의 성격 내부에 들어오게 되며 '어떤 부모를 닮느냐'에 따라 성격 구조가 달라집니다. 

 아동이 만화영화나 연극, 영화를 보며 재미를 느끼는 이유는 주인공과 자기를 동일시하고 주인공과 울고 웃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아동은 부모의 행동이 사회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도 아동에게는 그것이 힘으로 보이기 때문에 닮으려고 하는 금지된 대상과의 동일시, 두려운 대상의 특징을 닮아 대상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을 극복하려고 공격자와 동일시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만화영화에서 정의롭고 착한 캐릭터도 동일시하지만 괴물 캐릭터의 힘센 모습을 보고 동일시하는 것을 말합니다. 건강한 동일시는 공감능력과 관련이 있는데 상대방의 입장이 되어서 상대의 생각이나 감정을 느끼는 것입니다. 

 

5. 합리화

  합리화는 그럴듯한 이유를 내세우며 무의식적 욕망, 충동, 동기를 도덕적이고 합리적으로 설명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실제의 무의식적 욕망이나 동기를 지적하면 화를 낼 것입니다. 예를 들어서, 이솝우화 중 '여우와 신포도'는 합리화의 좋은 예입니다. 여우는 높은 곳에 있는 포도를 먹고 싶지만 자신이 올라갈 수 없다는 것을 인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저 포도는 시어서 먹을 수가 없어'라고 생각하고 말하는 것입니다. 아동이 사탕을 먹고 싶은데 엄마한테 혼날까 봐 '저 사탕은 찌찌가 묻어서 먹으면 안 돼요'라고 말하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6. 부정

 부정은 발달 단계 중 최초에 사용하거나 가장 원시적인 방어기제 중 하나입니다. 의식에서는 감당하기 어려운 욕구나 충동을 무의식적으로 부정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아동이 영화를 볼 때 무서운 장면이 나오면 손으로 눈을 가려서 자신이 보지 못하면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믿고 싶은 마음입니다. 현실의 위험이 너무 커서 받아들일 수 없을 때 위험 자체를 부정해 버림으로써 불안을 피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7. 퇴행 

  퇴행은 현실적으로 심한 욕구의 좌절을 당했을 때 유치한 과거 단계로 후퇴하는 것을 말합니다. 특히 이전의 어느 특정 성격발달 단계에서 심한 좌절을 경험했거나 너무 많은 만족을 받았다면 아동은 현실의 어려움이 생기면 그 단계로 돌아가서 무의식적으로 집착하게 되는데 이를 고착이라고 합니다. 아동은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면 이 고착된 시기로 퇴행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대소변을 잘 가리고 밤에 혼자 잠을 잘 자던 아동이 동생이 태어나자 밤마다 이불에 오줌을 싸게 되는 경우입니다. 이러한 행동을 통해 부모의 관심과 사랑을 새로 태어난 동생에게서 자신에게 되돌리기 위한 아동의 노력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8. 승화

 승화는 본능적인 욕구나 참기 어려운 충동을 사회적으로 용납되는 다른 형태로 돌려서 사용하는 방어기제입니다. 승화는 가장 건강한 방어기제로 다른 방어기제와 달리 원초아의 욕구를 반대하지 않고 억압하지 않으며 충동적 에너지를 사회적으로 쓸모 있는 에너지로 바꾸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아동이 아버지께 혼나고 아버지를 때려 주고 싶은 욕구가 있을 때, 아버지의 머리 대신에 축구공을 차면서 공격성을 승화하는 것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