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ids Psychology

유아의 심리발달 단계와 촉진적 환경

by Sordio 2023. 1. 8.
반응형

심리발달 단계와 촉진적 환경

심리발달

 말러와 동료 연구자들은 언어 습득 이전 시기의 정상 유아와 어머니의 상호작용을 10여 년간 관찰한 것을 바탕으로 초기 심리발달에 대한 이론을 제시했습니다. 즉 유아가 어머니와 관계를 맺는 성질을 기준으로 발달 단계를 자폐적, 공생적, 분리-개별화 단계로 구분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유아는 자신의 요구를 항상 만족시켜 주는 사람인 줄 알았던 엄마로부터 때때로 피치 못할 거절을 당할 때 갈등을 느낍니다. 만족을 주는 엄마와 좌절을 주는 나쁜 엄마로 분리된 어머니상을 가집니다. 그러나 마침내 엄마가 한결같은 사랑을 주는 사람이라는 이미지로 통합되면서 개별화 과정을 완성합니다.

 

1. 자폐적 단계

 태어나서 처음 몇 주 동안 신생아는 자기나 대상에 대해 인식하지  못하고 신체 감각만 인식하는 자폐적 상태로 지냅니다. 이 단계에서 신생아는 쾌락원리에 의해 움직이게 되는데 환경과 자신의 내부로부터 발생하는 생리적 긴장을 늦추어 생리적 평형을 유지하고자 합니다. 

 

2. 공생적 단계

 생후 2개월에서 6개월간 유아는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타인의 존재를 희미하게 인식하기 시작합니다. 하지만 자신과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주요 양육자를 분리된 존재로 지각하는 것이 아니라 어머니에 대한 애착을 통해 자신과 어머니가 하나인 것처럼 지각합니다. 어머니와의 공생이 잘 이루어지면 유아는 자신이 스스로 욕구나 바람을 충족시켜 주는 듯한 전능함을 경험합니다. 자신과 어머니가 하나의 전능한 체계인 것처럼 지각합니다. 이 단계에서 엄마와 공생적 관계, 즉 하나라는 느낌은 정서발달에 매우 중요합니다. 이런 경험을 바탕으로 유아는 기본적인 만족감을 얻는 대상관계를 형성하고 자기 신뢰 및 자기 존중감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3. 분리-개별화 단계

 이 단계는 대체로 생후 4~5개월부터 시작되어 2년 반 또는 3년까지 지속됩니다. 이 단계 동안 유아는 낯선 사람에 대한 불안과 분리불안을 경험합니다. 또한 기본적인 자아정체감과 어머니에 대한 대상항상성을 형성합니다. 이 단계는 네 개의 하위 단계로 구분되는데 분화 단계, 연습 단계, 재접근 단계, 정체성 확립과 대상항상성 형성 단계입니다.

 분화 단계는 대체로 생후 5~6개월에서 9~10개월까지이며 유아는 자신의 신체를 자각하고 자신과 어머니, 타인들을 구분하기 시작합니다. 즉, 유아는 생후 6개월쯤에서 분리-개별화를 위한 다양한 실험을 시작합니다. 유아는 어머니의 얼굴을 눈으로 보고 손으로 만지며 촉감으로 느끼면서 탐구하는 행동을 많이 합니다. 

 

 연습 단계는 생후 10개월 경부 터입니다. 이때는 유아의 인지 지능과 서서 걷기와 같은 자율적인 기능이 급격히 성장합니다. 이 시기에는 유아의 자기애가 절정에 이릅니다. 때로는 엄마의 존재를 거의 잊을 정도로 운동 기술을 연습하는 데 몰두하며 자신의 능력에 의기양양해합니다. 유아는 숙달의 즐거움과 자신을 둘러싼 세계와 사랑에 빠집니다. 유아는 점점 자신의 능력과 자신의 세계의 위대함에 도취되어 자기애가 발달합니다. 이 시기 동안 유아는 엄마를 정서적 재충전을 위해 되돌아와야 할 일종의 안식처처럼 생각합니다. 

 재접근 단계는 생후 15개월경부터이며 이 단계에는 엄마와 유아의 관계가 질적으로 크게 변화합니다. 연습 단계에서는 엄마는 유아에게 정서적 재충전을 위한 안식처였지만 이 단계에서는 더 나아가 자신이 세상에서 발견한 것을 나누고 싶은 존재가 됩니다. 하지만 유아는 엄마가 자신과 분리된 존재라는 것을 인식하기 때문에 엄마와 자신의 바람이 항상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고 연습기에 느낀 위대함과 전능감에 도전을 받게 됩니다. 재접근 단계의 초기에 유아는 이러한 지각 때문에 엄마가 없을 때 과도하게 활동을 하거나 안절부절못하는 행동을 보이고 낯선 사람에 대해 불안해하는 반응을 다시 나타냅니다. 

 

 18개월 정도 되면 유아는 세상이 자기 마음대로 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깨달으면서 양가감정을 느끼며 재접근 위기를 겪습니다. 한편으로는 어머니와 분리되어 위대하고 전능한 존재가 되고 싶은 욕구와 다른 한편으로는 어머니에게 의존해서 자신의 소망을 마술적으로 실현해 주기를 바라는 두 가지 욕구 사이에서 갈등을 느낍니다. 유아는 엄마에 대한 실망, 자신의 능력의 한계에 대한 무력감, 슬픔과 분노를 느낍니다. 대부분의 유아는 불만족, 기분의 빠른 변화, 짜증 등이 늘어납니다. 이 단계에서는 엄마를 밀쳐내는 행동과 엄마에게 매달리는 행동이 빠르게 교차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21개월이 되면 일반적으로 재접근 위기는 안정화되는 경향을 보이며 유아는 자신이 가장 잘 기능할 수 있는 엄마와의 최적의 심리적 거리를 재발견합니다. 개별화 능력도 증가하는데 언어 발달을 통해 환경을 통제할 수 있다는 자신감, 규율과 요구의 내재화, 상징적인 놀이를 통해 소망과 환상을 표현하는 능력이 발달하며 성정체감이 생기기 시작합니다.

 

  정체성 확립과 대상항상성 형성 단계의 주요 과제는 일생을 통해 지속되는 뚜렷한 개별성을 성취하고 어느 정도의 대상항상성을 획득하는 것입니다. 대상항상성은 긍정적인 어머니상이 저마 내재화되면서 확립됩니다. 대상항상성을 획득한 유아는 어머니가 보이지 않아도 어느 정도의 긴장과 불편을 참으면서 어머니로부터 분리되어 기능할 수 있습니다. 이는 어머니에 대한 좋은 대상과 나쁜 대상 표상을 하나의 전체적 표상으로 통합시켰음을 나타냅니다. 이 단계에는 언어가 급속히 발달하여 의사소통 능력이 증가합니다. 놀이는 보다 목적성을 가지게 되고 건설적으로 이루어지면 환상놀이, 역할놀이, 가상놀이가 시작됩니다. 

촉진적 환경

 모든 인간은 촉진적 환경이 주어지면 신체적 성숙뿐 아니라 정서적 성숙을 하도록 태어났으며 나아가 사회에 긍정적으로 공헌하는 방향으로 성장하려고 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환경이란 아동을 돌보는 양육자의 삶과 태도뿐 아니라 사회에서 통용되는 아동을 돌보는 데 필요한 비품들을 포함하는데, 즉 침대와 담요, 숟가락과 구강용 아기 장난감 등입니다. 

 위니캇은 충분히 좋은 엄마가 제공해 주는 돌봄에 의해 유아의 욕구가 충족될 경우에 '이것이 바로 내가 원하는 것이다'라는 경험이 반복되어 '내가 이것을 창조했다'는 경험으로 변한다고 했습니다. 이런 경험들이 반복됨에 따라 유아의 내면에서는 환상과 현실이 하나가 되며 자신이 세계의 창조자가 됩니다. 유아의 내면세계에 창조된 세계는 다분히 주관적인 대상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유아 스스로는 세상이 자신의 통제하에 있는 것으로 느껴집니다. 그러므로 충분히 좋은 엄마는 유아에게 '전능을 경험할 수 있는 짧은 기간'을 만들어 줍니다. 위니캇은 유아가 어느 정도라도 전능 경험이 없다면 유아가 창조하든지 하지 않든지 간에 세상에 존재하는 외적현실과 관계성을 경험하는 능력을 발달시킬 수 없고 심지어 외적 현실에 대한 개념을 형성할 수조차 없을 수 있다고 했습니다.

  

 충분히 좋은 엄마는 유아가 환경과 접촉할 때 침범하지 않고 자아를 지원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유아가 배가 고플 때 먹여 주고 달래 주고 안심시켜 주는 것처럼 욕구나 충동을 몸짓이나 움직임으로 표현하면 예민하게 반응하고, 엄마가 제공해 주는 환경은 지속적이고 안정적이기 때문에 예측 가능해야 합니다. 예를 들면, 유아의 자리를 옮기거나 수유, 이유식, 목욕, 놀이 등을 하는 동안 엄마가 아기를 존중해 줌으로써 가능합니다. 유아에게 충분히 좋은 엄마의 환경이 제공되지 않고 자아 지원이나 보호가 부족하면 유아는 이에 대해 방어적으로 반응하고 유아의 자아는 상처를 받게 됩니다. 예를 들면, 아이를 돌보는 방법이 계속적으로 변하는 것, 큰 소음, 머리를 받쳐 주지 않는 것, 방치하는 것 등이 이에 속합니다. 인간의 건강한 성장을 위해서는 짧은 시기 동안이지만 완벽한 환경이 필요합니다. 완벽한 환경이란 모성적 역할에 몰두함으로써 유아의 욕구와 몸짓을 매우 정확하게 이해하는 어머니를 의미합니다. 특히 초기 몇 개월 동안의 환경은 매우 중요합니다. 초기 몇 개월 동안 어머니는 유아의 욕구와 몸짓에 거의 완벽하게 반응해 주어야 합니다. 어머니는 유아가 고요한 상태에 있을 때 그를 침범하지 말고 편히 두어야 합니다. 유아에게 거울 역할을 해 주어야 하며 유아의 중간 대상을 존중해 주어야 합니다. 유아의 공격성을 보복하지 않고 견뎌냄으로써 유아가 대상을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합니다. 

 

반응형

댓글